본문 바로가기

남다른 매거진/남다른 정보

우리 명절 한식에 대해서 아시나요?

4월 6일 오늘은 한식(寒食)입니다.

우리 명절 한식에 대해서 아는 사람들이 극히 드뭅니다.

외국의 기념을 꼬박꼬박 챙기지면 왜 우리 명절에 대해서만 소홀한 것일까요?

 

오늘 우리 명절 한식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한식이란?

한식은 설날, 단오, 추석과 함께 4대 명절 중 하나입니다.

동지 후 105일째 되는 날로 올해 한식은 4월 6일이지요.

한식에는 두 가지 유래가 있습니다.

 

하나는 춘추시대의 인물 개자추에 대한 설화이며 다른 하나는 개화 의례에서 유래됐다는 설입니다.

춘추시대 개자추 설화부터 시작하겠습니다.

 

 

 

 

한식 설화 첫 번째, 개자추 이야기

개자추는 망명해 있던 진나라의 공자중이를 위해 헌신했고, 중이는 마친내

진 문공으로 즉위했지만 개자추에게는 아무런 벼슬을 내리지 않았습니다.

이에 분개한 개자추는 면산으 은동했고 뒤늦게 이를 깨달은 진문공이

개자추를 등용하려고 했지만 그는 세상으로 나오길 거부했다고 합니다.

 

진 문공은 개자추를 나오게 하기 위해 산에 불을 질렀고 끝내 나오지 않아 타죽고 말았어요.

그래서 개자추를 기리기 위해 불을 사용하지 않고 찬 음식만을 먹는 한식이 되었다는 설입니다. 

 

 

 

 

한식 두 번째 설화, 개화 의례

한식에 고대의 개화 의례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나오고 있습니다.

원시 사회에는 오래된 불은 생명력이 없고 인간에게 나쁜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이를 끄고 새 불을 만들어서 사용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주기적으로 개화 의례를 행하게 되었는데,

한식이 구화의 소멸과 신화 점화까지의 과도기를 한식으로 정했다는 이 있습니다. 

 

 

 

 

한식에는 불의 사용을 금했기 때문에 전날에 만들어 둔 찬음식을 그대로 먹는 풍습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쑥떡, 쑥탕, 메밀국수 등이 있지요.

 

또 한식에는 귀신이 꼼짝 않는 날로 여겨 산소에 손을 대도

탈이 없는 날이라고 해서 산소에 잔디를 새로 입히거나

비석 또는 상석을 세우거나 이장을 하기도 했습니다.

 

 

 

 

매년 한식이면 농사를 준비하는 시점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소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소를 부려보기도 하지요.

한식의 날씨를 살펴서 그 해 시절의 좋고 나쁨이나 풍흉을 점치기도 해요.

 

한식에 날씨가 좋고 바람이 잔잔하면 시절이 좋거나 풍년이 들고

어촌에서는 고기가 많이 잡힌다고 여겨져 왔습니다.

그러나 폭풍이 불고 큰비가 내리면 그 반대를 나타낸다고 합니다.

 

한식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중요한 명절로 여겨졌지만 오늘날 그 의미가 퇴색되었습니다.

2015년 4월 6일 한식. 오늘은 차가운 밥을 먹으며 한식의 의미를 되새겨 보시길 바랍니다.

 

참고: 전날일보 / 안상준 농협창녕교육원 교수